본문 바로가기

해양쓰레기3

해양쓰레기가 인간과 경제에 미치는 영향 해양쓰레기가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 해양쓰레기는 해양생태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그치지 않고, 해양환경의 쾌적한 이용을 방해할 뿐 아니라 어업활동에 지장을 초래하여 경제적인 손실을 입히고 있으며, 나아가 해상안전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김선화, 2007). 항해 중 선박 고장으로 좌초, 구조 요청 등 안전을 위협한다(National Research Council, 2008). 어선이나 레저용 선박의 프로펠러에 얽히고 취수구 밸브에서 물을 냉각시키는 것을 방해하여 항해를 위험하게 하며, 선박과 그물과 같은 거대한 부유성 쓰레기가 충돌할 위험이 있다(김선화, 2007). 또한 수영이나 다이빙을 하는 사람들이 해저 쓰레기에 걸릴 수 있기 때문에 위험하다(Cheshire et al., 2009). 해안의 경우.. 2020. 4. 14.
해양쓰레기가 해양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해양쓰레기는 해양생물에게 유해한 영향을 미친다(Laist, 1987). 특히 플라스틱에 의해 200종 이상의 해양생물이 얽히거나, 쓰레기를 삼키기는 현상으로 인해 위험에 이르는 일이 발견된다(Cole et al., 2011; Moore, 2008). 이런 현상은 해양 거대 동물에게서 뚜렷하게 나타나는데, 찢기거나, 장폐색, 영양결핍, 심지어는 죽음에 이르는 경우가 바다새 종의 44%, 고래류에서 32%, 기각류와 바다거북 종의 58%에서 나타난다(Fowler, 1987; Gregory, 2009, Laist, 1987; Moore, 2008; Schulyer et all., 2012, 2014). 세계 자연보존 연맹 멸종위기종 리스트(JUCN Red List)에 따르면 리스트에 등록된 120종의 해양 포.. 2020. 4. 13.
해양쓰레기의 정의 해양쓰레기는 아직 포괄적인 국제 관리체제나 국제적 협약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그에 따라 해양쓰레기에 대한 명확한 개념은 아직 없다. 국제 협약에서도 해양쓰레기에 대한 명확한 정의를 다루지 않고 있으며, 해양오염에 대해 다루고 있는 협약인 선박으로부터의 오염방지를 위한 국제협약(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Prevention of Marine Pollution form Ships, MARPOL 73/78, 해양오염방지협약)과 Agenda 21(의제 21)에서 오염원 중 하나로 쓰레기를 규정하고 있을 뿐이다(김선화, 2007). 우리나라에서는 해양쓰레기의 정의를 다루는 법령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해양환경관리법에서 해양쓰레기의 개념보다 더 포괄적인 해양폐기물의 정의를 명시.. 2020. 4.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