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경제

스파 관광의 개념

by URBAN CST 2020. 4. 19.

웹스터 영어사전(1913년 판)에 의하면 SPA란 벨기에의 유명 관천들의 이름에서 얻어진 용어로써, 스파의 어원은 “Salusperaquam”이라는 라틴어에서 나왔으며,“Healththroughwater”물에 의한 건강, 물을 통한 건강이라는 뜻이다. 스파는 심신의 휴식과 피부미용에 좋은 영향을 주고 최근 에스테틱샵과 연계하여 더욱 확산되고 있고 웰빙 열풍과 함께 미용부문에서 건강을 위한 적극적인 목욕 치료로 각광을 받고 있고 스트레스로 인한 피부 문제를 해결하고 편안하게 휴식을 즐길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김주연·여성진·김정인, 2008).

또한 스파는 미(美)와 건강에 관한 프로그램을 갖추어 제공하는 장소로서 막연히 입욕이나 온천과 동일한 개념으로 보기 어렵고 위락과 치유의 역할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것은 신체적인 즐거움의 장치이면서 또한 정서적 회복과 더 나아가 영혼의 쉼을 가져다주는 매개체가 되었다. 스파시설을 찾는 이유는 건강의 돌봄, 아름다움의 추구, 마음의 평화를 회복하고 즐거운 체험을 위해서이다. 그래서 스파시설은 복합적인 구성으로 되어 있다. 외양의 아름다움과 함께 내면세계의 성찰과 치유가 같이 이루어지며, 일상 속의 스트레스에서 벗어나 레크리에이션 할 수 있는 새로운 여가의 장임과 동시에 육체적인 병증 치료를 받을 수 있는 장이 되어야 한다(김미애, 2011).

현재 스파 서비스는 관광 및 환대 시장에서 가장 빠른 성장을 하고 있는 서비스 상품의 하나로, 특히 호텔이나 리조트에서 가장 차별화된 서비스 상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Huh, Kim, Noh and Davis,2011). 2007년부터 한국 정부에서는 의료서비스 산업 육성을 정책적으로 추진하기 시작하게 되고, 일부 호텔들은 의료관광과 연계하여 스파 시설과의 연계 패키지 상품을 출시하고 있다(정유리·차석빈, 2009). 또한, 스파 서비스를 이용하여 뷰티관광산업을 활성화시키는 국외 사례도 매우 많다. 일본과 같은 경우는 미용과 건강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미네랄 온천스파와 수중 운동 프로그램 및 건강미용체조 등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양한 뷰티관광프로그램을 출시하고 있다. 그리고, 미국에서는 뷰티관광형태를 총괄하는 건강리조트와 연계하여 온천을 비롯한 해수요법실, 뷰티살롱, 삼림욕장 등 건강과 뷰티에 관련된 복합 시설을 위주로 진행하고 있다(오강수, 2011d). 스파의 천국 필리핀과 같은 경우는 마사지나, 물, 열, 부력 따위를 이용하여 혈액 순환을 촉진시키고 피부를 관리하며 스트레스를 해소 효과가 있는 현대의학 개념의 메디컬 스파를 이용하여 뷰티관광프로그램을 출시하고 있다(박찬열, 2009). 그리고 이스라엘에서는 바닷가 요양과 진흙(머드) 욕을 통해 미용과 관광을 연계하는 뷰티관광상품을 만들고 있다(오강수, 2011d). 또한 뷰티관광대국 태국과 같은 경우는 선진국 대비 저렴한 가격경쟁력, 의료서비스 지원, 태국 고유의 관광자원인 홀리스틱 요법, 전통 마사지, 허비 상품 등이 연계된 뷰티관광(미용의료관광)의 활성화로 해마다 30%가 넘는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세계적 트렌드에 맞춰 다양한 형태의 웰니스 스파(Wellness Spa)와 메디컬 스파(MedicalSpa)를 상무부와 관광청의 마케팅 지원 하에 활성화되고 있다. 이중에 나란라다 메디스파의 경우 피부 재생, 보톡스, 탈모치료 등 의료와 뷰티가 결합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실정이다(황순욱, 2010).

다수의 스파 관광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한 결과로써는 해외연구들은 주로 스파 관광을 웰니스 관광(Wellness Tourism);웰빙관광(Wellbeing Tourism);헬스케어 관광(Healthcare Tourism)의 한 유형으로 정의하거나(Hadzik, Szromek and Sadowska-Krepa,2012;Voigt, Brown and Howat,2011;Speier,2011;Henderson,2004). 또는, 독립적으로 스파 관광(SPA Tourism)이라고 정의고 있다(GeorgievandVasileva,2010;Nemanja, TamaraandÐORÐEVIÆ,2010). Henderson(2004)은 스파와 대안치료법(spa and alterative therapies)을 헬스케어 관광의 한 유형으로 정의하였다. 국내 연구들은 스파 관광을 주로 의료관광;에스테틱 관광;미용관광의 한 유형으로 정의하거나(Yu and Ko,2012;오강수, 2011d;김민철·문성종·부창산, 2008)또는 온천관광;스파 관광이라고 정의하고 있다(김시중, 2011a, b, c;박수진, 2011;허창·김승현·노정희, 2011;정종태·최만진, 2011;김승, 2011;박근수·이영관·이상현, 2011;박정열·이희찬·안윤영, 2008). 오강수(2011d)는 향후에 한국의 미용관광산업을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스파 및 두피 관리 등 미용요법의 활성화가 매우 중요한다고 제안하였다.

따라서 스파 관광을 사람이 신체적이나 정신적인 건강 및 아름다움을 추구하기 위하여 스파시설을 이용하는 동시에 관광행위와 같이 이루어지는 관광형태로써 뷰티관광의 한 유형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댓글